"그들이 원하는 영웅이 돼줘야지"
일본 역사상 최악의 대재앙이었던 관동대지진이 일어났던 당시의 시대를 그린 영화 <박열>
1923년 9월 1일 일본의 수도인 도쿄가 위치한 관동지방에서 규모 7.9의 대지진이 일어났다. 바로 관동대지진.
이로 인해 사망자만 10만명에 이르렀다. 곳곳에서는 폭발과 화재로 도시뿐만 아니라 국가가 아비규환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민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한다. 그 방안은 거짓된 소문을 퍼뜨리는 것이었다.
지진으로 혼란에 빠진 국민들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이다.
그 소문은 바로 "조선인들이 우물에 독을 타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의 이러한 발표 이후 일본의 극단주의 세력이 조선인들을 무참하게 학살하기 시작했다. 극단주의 세력에는 '자경단'이라는 일본 민간인 단체가 있었다. 정부의 방조하에 군인과 경찰까지 가담하였으며 약 6,500 명의 조선인이 죽게 된다. 이는 일본 정부가 예상했던 수보다 훨씬 높았다.
일본 정부는 또 다른 혼란을 방지하고자 한 사람을 선택한다. 그 한 사람은 바로 '불령사'를 조직해 항일운동을 펼치며 폭탄테러를 준비하였던 '박열'이었다. 박열은 일본 정부의 계략을 눈치채고 그들이 원하는 영웅이 되기로 한다. 일본 정부가 원하던 그 한 사람으로 그리고 대한민국 조선인의 대표로서 법정에 선다. 조선 전통 옷을 입고 말이다. 왜냐하면 그는 범죄자로서가 아닌 조신의 대표로서 법정에 왔기 때문이다. 그는 당당했다. 황태자를 살해하려던 행위는 그에게 모욕이 아닌 조선인으로서의 영광이었기 때문이다.
일본 제국을 뒤흔든 실화
경상북도 문경 출신이었던 박열 선생님. 그는 일본에 거주하며 아나키스트(무정부주의)로 활동하였다. 기존 강제 권력에 저항하는 아나키스트로 '불령사'를 조직하고 조선 백성들을 구할 것이라는 확고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에서 태어났지만 부모에게 버려져 조선에 계신 고모 집에서 살게되며 1919년 3월 1일 독립운동을 직접 목격하며 조선에 대한 애국심과 독립의지가 확고해진다. 일본으로 돌아온 후미코는 1922년 박열 선생을 만나 동지이자 배우자로 함께 한다. 그녀 역시 아나키즘에 빠져있어 그와 함께 조선 독립을 꿈을 꾸었기 때문이다. 박열과 후미코는 일왕 암살을 도모했다는 이유로 사형에 처하며 옥중에서 혼인을 하게 된다. 가네코는 머지않아 무기징역으로 감형이 되었지만 2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일본 정부는 그녀의 죽음이 자살이었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죽음에 대한 의혹이 수 없이 많이 남아있다. 이 소식을 들은 박열은 자신 역시 같이 죽기 위해 단식을 이어가지만 그는 끝까지 살아남아 일제의 만행을 세상에 알리기로 결심한다. 그렇게 22년의 감옥살이 후 해방 이후인 1945년 10월 27일 석방이 되었다.
개인적인 영화 후기
2017년 6월에 개봉했던 영화 <박열>
이 영화는 여전히 나의 한국 역사 영화 BEST에 들어있는 영화이다. 나는 역사 영화의 경우 스토리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왜곡되지 않고 얼마나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만들어 졌는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러나 이 영화의 경우 관람 이후 조사했던 내용과 어긋나는 것이 거의 없었다. 박열 선생님과 가네코 후미코가 실제로 옥중에서 찍었던 사진을 두 배우가 재연했던 점이 너무나도 좋았다. 가장 기억에 남는 대사는 아래와 같다.
숨기려고 하면 할수록 드러나는 것이 자연의 순리요. 역사의 흐름이다.
현재까지도 역사적 사실과 그들의 만행을 부정하고 숨기려는 일본. 그들은 역사를 숨기고 부정하기 위해 또 다는 거짓말을 할 것이다. 그 거짓말을 사실화 시키기 위해 또다른 거짓말을 할 것이다. 그들은 계속해서 거짓을 말하겠지만 언젠가 그 진실이 들어날 것이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오동 전투> 승리의 역사를 담은 영화 (0) | 2023.01.13 |
---|---|
<밀정> 광복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의열단, 그리고 밀정 (0) | 2023.01.13 |
<암살> 독립운동가들의 투쟁을 담은 영화 (0) | 2023.01.12 |
<동주> 인물들에 더욱 집중시킨 흑백영화 (0) | 2023.01.09 |
<기생충> 아카데미 4관왕의 영화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