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견과 함께 살아가기

강아지 반려인이 가장 흔히 저지르는 실수

by BAMBINOO 2023. 2. 2.

반려인이 흔히 하는 실수 블로그 사진
Bambino's Life Blog

<반려견과 함께 살아가기> 16번째 시간입니다.

지난시간에는 강아지의 배변, 잇몸 색깔, 그리고 코의 상태에 따른 건강상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많은 반려인들이 가장 흔히 하는 실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글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배변 및 잇몸관련 정보 포함)
 

반려견 강아지 코로 보는 건강상태

반려견 강아지 건강상태 세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두개의 이전글들을 통하여 '배변색을 통한 건강상태' 그리고 '잇몸색을 통한 건강상태' 확인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강아지의 코를 통하

bambinoslife.com


반려인의 실수 5가지

반려견 강아지 사진
From. pixabay

  • 부적절한 영양 : 강아지를 돌볼 때 사람들이 저지르는 가장 흔한 실수 중 하나는 부적절한 식단을 먹이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필수 영양소가 부족한 식단을 제공하거나, 너무 많이 또는 너무 적게 먹이거나, 또는 건강에 해로울 수 있는 인간 음식을 제공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균형 잡히고 영양가 있는 식단은 반려견의 전반적인 건강과 웰빙에 필수적입니다. 반려견의 연령, 품종, 활동 수준에 적합한 고품질 사료를 선택하고 권장 섭취량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운동 부족 : 또 다른 일반적인 실수는 강아지에게 충분한 신체 활동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고 심혈관 건강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아이들의 행동 문제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반려견의 정신 및 신체 건강에 매우 중요합니다. 운동 부족은 지루함, 파괴적인 행동, 비만으로 이어져 다른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반려견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지낼 수 있도록 산책, 달리기, 노는 시간과 같은 일상적인 신체 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치과 치료 소홀 : 강아지의 치과 치료를 소홀히 하는 것은 또 다른 일반적인 실수입니다. 양치질과 껌 제공을 포함한 정기적인 치과 치료는 전반적인 건강에 중요합니다. 열악한 치아 위생은 잇몸 질환, 충치 및 구강뿐만 아니라 심장, 간 및 신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타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치아와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치아 청소와 수의사의 검진도 중요합니다.

 

 

  • 동물병원 정기검진 소홀 : 정기적인 수의사 검진은 건강 문제를 조기에 예방하고 발견하는 데 중요합니다. 검진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해야합니다. 정기검진을 건너뛰게되면 건강 문제가 눈에 띄지 않게 되어 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려견의 건강을 확인하고 잠재적인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수의사와 정기적인 검진 일정을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적절한 훈련 및 사회화 활동 부족 : 훈련 및 사회화를 소홀히 하는 것은 행동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또 다른 흔한 실수입니다. 적절한 훈련과 사회화는 많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반려견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격성, 분리 불안, 파괴적인 행동 및 기타 문제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이들을 다른 동물 및 사람들과 사귀고 기본적인 복종 훈련을 제공하면 예의바르고 자신감 있는 가족 구성원이 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한 번이 두 번, 두 번이 세 번 (결국은 인간의 귀찮음)

위에 다섯가지 항목들을 보게되면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부족' 그리고 '소홀'입니다. 아기 강아지를 분양 받은 초기에는 지극정성으로 모두 관심을 가지고 돌봅니다.

그러나 1년, 3년, 그리고 5년이 되면 점차 입양 초기의 다짐과 각오 그리고 열정이 점점 식어갑니다.

익숙함 그리고 안일함이 주된 이유입니다. 아이의 존재에 익숙해짐으로서 소중함을 잃는 것입니다.

그동안 아프지 않았으니 앞으로도 아프지 않겠지라는 착각과 내일하면 된다는 귀찮음 및 안일함이 아이들을 아프게 합니다.

 

반려인이 흔히 하는 실수 블로그 사진
Bambino's Life Blo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