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피요령2

재난상황 반려동물 재난키트 준비 방법 2022년 말 기준, 국내 반려가구 552만 가구로 약 1,300만 명의 반려인들이 있습니다. 출산율은 점차 줄어들지만 매년 반려가구의 수는 증가하는 현재 반려동물을 위한 재난키트 준비하셨나요? 이번 시간 반려동물을 위한 재난상황 대비 재난키트 준비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전하지 않은 대한민국 작년 여름 수도권에 집중된 기록적인 폭우로 인하여 경기도와 서울을 비롯한 곳곳에 비 피해가 상당했습니다. 아무리 수도권이라도 저지대에 위치한 주택들은 침수가 되었으며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은 천장까지 물에 잠겨 수많은 인명피해를 남겼습니다. 올해 23년 4월에는 강릉에서 산불 피해가 있었습니다. 강풍으로 인하여 나무가 쓰러지며 건드린 전신주에서 시작된 작은 불씨는 무려 축구장 530개 규모의 화재로 번.. 2023. 6. 15.
재난상황 반려동물 강아지 대피 방법 (전쟁, 지진, 화재 등) 2주 전 2023년 5월 31일 오전 6시, 서울을 떠들썩하게 만든 사건이 일어났었습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따른 경계경보가 발령했기 때문입니다. 미사일이 아닌 위성이었고 결국 오발송 해프닝으로 끝이 났습니다. 그러나 대피장소와 대응 방법에 대해서 안내가 되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혼란을 겪었습니다. 이와 함께 많은 사람들이 반려동물과의 대피 방법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재난상황 반려동물 강아지 고양이 대피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반려가구 현황 KB금융지주의 "2023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다르면 2022년 말 반려동물을 키우는 반려가구는 약 552만 가구로 1,262만 명의 반려인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에는 대표적으로 강아지, 고양이, 금.. 2023. 6. 14.